top of page
검색

잇몸 퇴축 , 아랫니 잇몸이 내려갔어요, 치아교정 중 잇몸퇴축이 발생할수도 있나요? 잇몸내려앉음(치은퇴축) 원인

https://blog.naver.com/themisosmile

더미송 네이버 블로그에 게제하였던 글을 옮겨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송정민 입니다.

오늘은 잇몸 퇴축, 잇몸 내려감 에 대해 이야기 하려합니다.

오랜 만에 치과에 가셨다가

구강검진 후 잇몸이 내려갔다고 들으시는 분들이 있으십니다.

생각해 보면, 잇몸이 내려갔다고 하는 치아가

유독 찬물, 양치할때 시렸던 것 같은 기억도 있는것 같구요 ^^

"나는 양치질 도 평소에 굉장히 잘하고, 칫솔로 엄청 열심히 벅벅 닦는데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

잇몸퇴축. 잇몸내려앉음, 잇몸내려감, 치은퇴축

잇몸퇴축 (치은퇴축, gingiva recession, Marginal tissure recession)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양치질을 잘못해서 생긴(잇솔질 습관으로 인한 외상) 외상

치아의 부적절한 위치로 인한 잇몸퇴축

치조골 열개(bone dehiscence ;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뼈인 치조골의 벌어짐)

근육 및 높은 소대 부착 (순소대,협소대 등 )

치태, 치석

전반적인 치주질환(풍치)로 인하여



잇몸퇴축의 흔한 원인중 하나가 잘못된 잇솔질 습관 입니다.



양치질 깨끗히 하겠다고 너무 벅벅 해도 문제입니다.

잘못된 양치질은 치아와 잇몸에 외상을 줄수 있습니다.


잇몸 퇴축의 대표적인 두가지 양상.

전반적인 풍치(치주질환) 로 인한 잇몸퇴축 과,

잇솔질에 의한 외상으로 생긴 잇몸퇴축은 약간 양상이 다음과 같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잇몸 퇴축의 대표적인 두가지 양상.

전반적인 풍치(치주질환) 로 인한 잇몸퇴축 과,

잇솔질에 의한 외상으로 생긴 잇몸퇴축은 약간 양상이 다음과 같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물론 두가지 모두 혼재 되어 나타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두가지 잇몸퇴축의 양상 ,

왼쪽:풍치로 인한 전반적 잇몸퇴축,

오른쪽: 잘못된 잇솔질로 인한 외상으로 발생한 잇몸퇴축



교정의사가 잇몸 퇴축을 유심하게 보는 또 다른 한가지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상황입니다.


부적절한 치아 위치에 의해서(치아거꾸로물림)

아랫니의 잇몸이 내려앉았습니다.

이렇게 앞니가 거꾸로 물리면서 아랫니에 부담을 많이 주게 되는 경우

이러한 부적절한 힘과 더불어 치아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잇몸퇴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잇몸퇴축이 있다고 들으신 분들은 다음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전체적으로 풍치가 있어서 잇몸이 내려간건 아닌지?

2. 양치질 습관이 잘못된 것은 아닌지?

- 횡마법(칫솔을 앞뒤로 움직이며 문지르는 습관)이 아닌 회전법(칫솔을 잇몸에서 치아로 쓸어주듯이 손목을 회전하며 닦는 것) 으로

양치질을 하여야 잇몸퇴축 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어느 한군데에 국소적으로 발생한 잇몸퇴축 이라면,

치아의 위치나 각도가 부적절하지 않은지?



참고로

성인에게 올바른 양치질 방법 (잇솔질 방법)에는

바스법 , 차터스법 , 스틸맨법, 회전법 등 이 있습니다.

이러한 올바른 잇솔질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



치아교정 & 잇몸퇴축

치아 교정 중에는 잇몸퇴축 은 어떤 상관성을 가질까요?


결론적으로 교정치료로 잇몸퇴축이 심해질 수도 있고, 오히려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교정치료 중 잇몸퇴축 발생에 가장 유의해야 하는 부위는

아래 앞니,즉 아랫니 잇몸입니다.

아랫니를 둘러싸고 있는 아래턱 뼈가 사람에 따라서 굉장히 얇은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잇몸두께도 얇기 때문이지요,.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잇몸뼈 의 형태 (하악전치 치조골 단면)



위 사진은 아랫니를 둘러싸고 있는 뼈의 형태를

CBCT(치과용 콘빔시티)로 촬영한 단면입니다.

왼쪽은 아랫니가 두꺼운 뼈에 잘 둘러싸여 있는 반면

오른쪽은 아랫니를 둘러싸고 있는 뼈가 얇아서 치아가 아래턱 뼈에 아슬아슬하게 서있는 느낌입니다.

이런 경우 잇몸퇴축 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 치아의 적절하지 못한 각도나 위치에 의해서도,

잇몸내려앉음 이 호발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처럼 치아가 왼쪽 처럼 잇몸뼈에 서있다면

치아 앞쪽으로 굉장히 얇은 뼈 만이 남을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경우 잇몸퇴축 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파란색 화살표가 가르키는 부위)


따라서 교정치료 시 치아를 적절하게 잇몸뼈 안으로 위치시켜 줘야만

잇몸퇴축 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합니다 ^^ 다만 치료후 교합 등을 고려하여

잇몸뼈의 위치와 반대되게 절충치료 해야하는 경우가 많기에 어려운 일입니다.)


이렇게 치아를 움직이는 교정치료의 경우

잇몸 퇴축 을 예상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겠지요,

치아교정과 잇몸퇴축의 문제는 늘 예의주시 해야하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잇몸퇴축의 원인과, 치아교정과 잇몸퇴축에 대한

더미소교정치과 송정민 원장의 글이었습니다. ^^

조회수 3,768회댓글 0개
bottom of page